분류 전체보기
-
05. 조건문Python 2021. 1. 20. 16:15
5.1 if 조건문 if문 (true이면) 프로그램의 실행 흐름을 통제하는 문장을 제어문이라고 한다. 조건문은 조건의 진위 여부에 따라 명령의 실행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문이다. if 조건: 명령 변수는 언제든지 바뀔 수 있는 값이며 어떤 값이 입력될지 미리 알 수 없기 때문에 실행 중에 값을 점검하는 조건문이 필요하다. 조건문 뒤에는 반드시 콜론(:)을 붙이고, 명령문 앞쪽은 들여쓴다. 비교 연산자 2 "10" -> "2"와 "1"을 먼저 비교하기 때문 대입 연산자(=)와 비교 연산자(==) 구분. 컴퓨터는 숫자 즉, 문자열(문자코드)를 처음부터 0이 아닐 때까지(끝까지) 빼본 뒤 비교한다. 그렇기 때문에 비교 시 대소문자를 구분한다. ASKII 코드 대문자가 앞, 소문자가 뒤. 타입..
-
04. 연산자Python 2021. 1. 20. 16:15
4.1 대입 및 산술 대인 연산자 변수 = 수식 형식으로 = 기호 왼쪽에 값을 저장할 변수를 적고 오른쪽에 이 변수에 저장할 값이나 수식을 적는다. 수식은 값이 결정되어 있어야 한다. b = c * d * e -> c, d, e 값이 정의되지 않은 상태에서 읽기 시도 -> error print(value) -> ~ is not defined error -> 정의하지 않고 읽기 시도 산술 연산자 정수 / 정수 -> 실수 값 연산자 설명 ** 거듭제곱 // 정수 나누기 (몫) % 나머지 11 ** 2 -> 11^2 5 // 2 -> 2 8 % 4 -> 0 => 배수 판별에 쓰임 복합 대입 연산자 (현재의 값을 조작해서 update하는 개념) +=, -=, *= C나 자바는 ++, -- 연산자가 있는 반면 파..
-
03. 타입Python 2021. 1. 20. 16:13
3.1 수치형 정수형(int) 진법 접두 사용 가능한 숫자 예 16진법(hexadecimal) 0x 09, af 0x2f 8진법(octal) 0o 0~7 0o17 2진법(binary) 0b 0, 1 0b1101 print 명령은 정수를 어떤 진법으로 표현하든 항상 10진수로 출력한다. 10진수 이외의 진법으로 정수를 출력하기 위해선 hex, oct, bin 함수를 사용하면 된다. 이 함수들은 10진수를 접두까지 붙여 문자열 형태로 전환한다. 변환한 결과는 문자열이므로 계산에는 사용할 수 없고 출력만 가능하다. - 2진수, 8진수, 16진수 문자를 10진수로 변환하는 방법은 int의 두 번째 매개변수로 값을 넣어준다. print(int('0b1010', 2)) print(int('0o..
-
02. 변수Python 2021. 1. 20. 16:12
2.1 기본 구조 소스의 형식 전통적인 C, 자바는 {}로 블록을 표시하고, 파스칼은 begin, end로 코드 블록을 형성한다. 이에 비해 파이썬은 명시적인 블록을 사용하지 않으며 왼쪽을 공백으로 적당히 띄워 들여쓰기(Indent)함으로써 구조를 만든다. 파이썬은 세미콜론을 무시할 뿐 에러로 처리하지 않는다. 한 줄에 두 개의 명령을 작성하고 싶을 때 명령끼리 구분하는 역할을 한다. a = 3; b = 4 파이썬은 대소문자를 구분하며, 주석은 #를 사용한다. 하지만 여러 줄 주석은 지원하지 않는다. 출력 print(출력 내용, [, sep=구분자][, end=끝문자]) sep의 디폴트는 공백(' ')이고, end의 디폴트는 개행문자('\n')이다. sep=''로 빈 문자열을 지정하면 두 변수 사이에 아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