# 1001 Hello 출력하기
print("Hello")
# 1002 Hello World 출력하기
print("Hello", "World")
# 1003 Hello
# World 출력하기
print("Hello\nWorld")
# 1004 'Hello' 출력하기
print("'Hello'")
# 1005 "Hello World" 출력하기
print('"Hello World"')
# 1006 "!@#$%^&*()" 출력하기
print('"!@#$%^&*()"')
# 1007 "C:\Download\hello.cpp" 출력하기
print(r'"C:\Download\hello.cpp"')
# \\이나 \n이 있을 경우를 대비해 r을 붙임
# 1008 유니코드로
# ┌┬┐
# ├┼┤
# └┴┘
# 출력하기
print("\u250C\u252C\u2510\n\u251C\u253C\u2524\n\u2514\u2534\u2518")
# 1010 정수 1개 입력받아 그대로 출력하기
print(int(input("")))
# 1011 입력된 문자를 그대로 출력하기
print(input(""))
# 1012 입력된 실수값을 그대로 출력하기
float = float(input(""))
print("%.6f" %float)
# 1013 정수 2개 입력받아 그대로 출력하기
a, b = input("").split()
print(int(b), int(a))
# 1014 문자 2개 입력받아 순서 바꿔 출력하기
a, b = input("").split()
print(b, a)
# 1015 실수 입력받아 둘째 자리까지 출력하기
float = float(input(""))
print("%.2f" %float)
# 1017 정수 1개 입력받아 3번 출력하기
num = int(input(""))
print(num, num, num)
# 1018 시간 입력받아 그대로 출력하기
hour, minute = input("").split(":")
print(int(hour), int(minute), sep=":")
# 바로 print(input(""))으로 해도 결과물은 같긴 하다.
# 만일 시간, 분을 나눠받고 싶으면 위의 방식으로 하면 된다.
# 1019 연월일 입력받아 그대로 출력하기
year, month, day = input("").split(".")
print("%04d.%02d.%02d" %(int(year), int(month), int(day)))
# zfill 메소드를 이용해도 문자열에 0을 채울 수 있다.
# print(format(year.zfill(4), month.zfill(2), day.zfill(2), sep = ".")
# 1020 주민번호 입력받아 형태 바꿔 출력하기
jumin = input("")
jumin = jumin.replace("-", "")
print("%013d" %int(jumin))
# 위는 숫자로 취급했을 때, 밑은 문자열로 취급했을 때
# num1, num2 = input("").split("-")
# print(num1 + num2)
# 1021 단어 1개 입력받아 그대로 출력하기
print(input(""))
# 1022 문장 1개 입력받아 그대로 출력하기
print(input(""))
# 1023 실수 1개 입력받아 부분별로 출력하기
jung, sil = input("").split(".")
print(int(jung))
print(int(sil))
# 1024 단어 1개 입력받아 나누어 출력하기
string = input("")
for i in string:
print("'{}'".format(i))
# +로 문자열을 연결해도 무방
# 1025 정수 1개 입력받아 나누어 출력하기
num = int(input(""))
print("[{}]".format(num // 10000 * 10000))
num = num % 10000
print("[{}]".format(num // 1000 * 1000))
num = num % 1000
print("[{}]".format(num // 100 * 100))
num = num % 100
print("[{}]".format(num // 10 * 10))
num = num % 10
print("[{}]".format(num))
# 혹은 문자열 그대로 출력해도 무방하다면
# num = input();
# print("[%d]".format(int(n[0]) * 10000));
# 각 문자열 배열을 활용해서 각 자리 수를 구한다. 즉, num // 10000 -> n[0]
# for문을 사용할 수도 있다.
# 1026 시분초 입력받아 분만 출력하기
hour, minute, second = input("").split(":")
print(int(minute))
# 1027 년월일 입력받아 형식 바꿔 출력하기
year, month, day = input("").split(".")
print("{0:02d}-{1:02d}-{2:04d}".format(int(day), int(month), int(year)))
# 이 문제 또한 zfill 메서드 활용 가능하다.
# 1028 정수 1개 입력받아 그대로 출력하기2
print(int(input("")))
# 1029 실수 1개 입력받아 그대로 출력하기2
float = float(input(""))
print("%.11f" %float)
# 1030 정수 1개 입력받아 그대로 출력하기3
print(int(input("")))
# 1031 10진 정수 입력받아 16진수로 출력하기1
num = int(input(""))
print("%o" %num)
# num = int(input(""))
# print(format(num, "o"))
# format을 활용해서 출력도 가능
# 1032 10진 정수 입력받아 16진수로 출력하기1
num = int(input(""))
print("%x" %num)
# num = int(input(""))
# print(format(num, "x"))
# format을 활용해서 출력도 가능
# 1033 10진 정수 입력받아 16진수로 출력하기2
num = str(hex(int(input(""))))
num = num.replace("0x", "").upper() # 슬라이싱도 가능
print(num)
# num = int(input(""))
# print(format(num, 'X'))
# format을 활용해서 출력도 가능, 대문자로 출력하고 싶다면 대문자를 두 번째 인수로
# 1034 8진 정수 1개 입력받아 10진수로 출력하기
num = input("")
# num = "0o" + num
# 접두어 추가해도 안 해도 된다
num = int(num, 8)
print(num)
# 1035 16진수 정수 1개 입력받아 8진수로 출력하기
num = input("")
# num = "0x" + num
# 접두어 추가해도 안 해도 된다
num = int(num, 16) # 10진수로 변환
print(format(num, "o"))
# print("%o" %num)
# 포맷팅으로도 가능
# 1036 영문자 1개 입력받아 10진수로 출력하기
print(ord(input("")))
# 1037 정수 입력받아 아스키 문자로 출력하기
print(chr(int(input(""))))
# 1038 정수 2개 입력받아 합 출력하기1
num1, num2 = input("").split()
print(int(num1) + int(num2))
# 1039 정수 2개 입력받아 합 출력하기2
num1, num2 = input("").split()
print(int(num1) + int(num2))
# 1040 정수 1개 입력받아 부호 바꿔 출력하기
num = int(input(""))
print(-1 * num)
# 1041 문자 1개 입력받아 다음 문자 출력하기
nextalpha = ord(input("")) + 1
print(chr(nextalpha))
# 1042 정수 2개 입력받아 나눈 몫 출력하기
num1, num2 = input("").split()
print(int(num1) // int(num2))
# 1043 정수 2개 입력받아 나눈 나머지 출력하기
num1, num2 = input("").split()
print(int(num1) % int(num2))
# 1044 정수 1개 입력받아 1개 더해 출력하기
print(int(input(""))+1)
# 1045 정수 2개 입력받아 자동 계산하기
num1, num2 = input("").split()
num1 = int(num1)
num2 = int(num2)
print(num1 + num2)
print(num1 - num2)
print(num1 * num2)
print(num1 // num2)
print(num1 % num2)
print("%.2f" % (num1 / num2))
# 1046 정수 3개 입력받아 합과 평균 출력하기
num1, num2, num3 = input("").split()
num1 = int(num1)
num2 = int(num2)
num3 = int(num3)
plus = num1 + num2 + num3
print(plus)
print("%.1f" % (plus / 3))
# 1047 정수 1개 입력받아 2배 곱해 출력하기
num = int(input())
print(num << 1)
# 1048 한 번에 2의 거듭제곱 배로 출력하기(a 를 2b배 만큼 곱한 값을 출력한다.)
a, b = map(int, input().split())
print(a << b)
# a, b = map(int, input().split())
# print(a * (2 ** b))
# ** 연산으로도 가능
# 1049 두 정수 입력받아 비교하기1 (a가 b보다 큰 경우 1을, 그렇지 않은 경우 0을 출력한다.)
a, b = map(int, input().split())
print(int(a > b))
# 물론 if를 사용해도 무관
# 1050 두 정수 입력받아 비교하기2 (a와 b의 값이 같은 경우 1을, 그렇지 않은 경우 0을 출력한다.)
a, b = map(int, input().split())
print(int(a == b))
# 1051 두 정수 입력받아 비교하기3 (b가 a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1을, 그렇지 않은 경우 0을 출력한다.)
a, b = map(int, input().split())
print(int(b >= a))
# 1052 두 정수 입력받아 비교하기4 (a와 b가 다른 경우 1을, 그렇지 않은 경우 0을 출력한다.)
a, b = map(int, input().split())
print(int(a != b))
# 1053 참 거짓 바꾸기
num = int(input())
print(int(not num))
# 물론 if문도 가능
# 1054 둘 다 참일 경우만 참 출력하기 (둘 다 참(1)일 경우에만 1을 출력하고, 그 외의 경우에는 0을 출력한다.)
a, b = map(int, input().split())
print(int(a and b))
# 물론 if문도 가능